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찬성 55%, 반대 42%

본문 바로가기
정보제공
> 정보와 소통 > 정보제공
정보제공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찬성 55%, 반대 42%

최고관리자 0 154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찬성 55%, 반대 42%서울대 유명순 교수,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 발표
김희라 기자 | 승인 2022.09.29 15:40
96344_30997_3832.png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은 케이스탯리서치와 함께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자료출처:서울대 유명순 교수팀)

국민 절반 이상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은 케이스탯리서치와 함께 지난 22~26일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관련 국민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설문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 가능하다'고 답한 사람은 55%로 절반을 넘겼다. '해제 불가능하다'고 보는 사람은 전체의 41.8%로 나타났다. 나머지 3.2%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세부 응답으로는 '지금도 부분(단계)적 해제 가능'이 43.9%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들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고려할 때 코로나19 재유행 등 감염 영향(45.8%)을 가장 많이 생각했다. 다음은 고위험군에 미칠 영향(28.1%)을 고려했고, 어린이 언어·정서 발달 등 미래 세대에 미칠 영향(11%)도 우려했다. 마스크 의무 유지나 해제에 대한 해외 국가 사례를 고려했다는 응답이 3.2%로 가장 적었다.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긍정적인 인식은 연령, 코로나 확진 경험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마스크 의무 해제를 더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20대와 30대는 64.6%, 40·50대는 56.6%, 60세 이상은 49.2%가 실내 마스크 해제해도 된다고 봤다.

코로나19 확진 경험의 경우, 확진된 적 있는 사람(60.3%)은 없는 사람(54.3%)보다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더 원했다.

96344_30998_4029.jpg
연구팀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해도 된다'고 답한 사람들한테 어떤 장소에서 안 써도 된다고 생각하는지 물어봤다.(자료출처:서울대 유명순 교수팀)

연구팀이 지금 단계적 해제가 가능하다고 답한 439명에게 어떤 장소에서 해제할 수 있다고 보는지 물은 결과,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단계적 해제가 가능하다는 응답률이 64.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미취학 영유아 시설(22.8%), 종교 등 단체 활동 시설(18.2%), 학교 학원 등 취학 아동·청소년 시설(17.5%)이 뒤를 이었다. 병원, 요양기관 등 의료·돌봄 시설(5.7%)을 선택한 사람이 가장 적었다.

이번 연구를 한 유명순 교수는 "국민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두고 해제 가능과 불가능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이지 않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스크 해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또 "이 변화 움직임이 모두에게 같은 수준이 아니란 점도 주목할 만 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9월 26일부터 야외에서의 마스크 착용의무를 전면 해제했다. 50인 이상이 모이는 야외집회에 참석할 때나 공연·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때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실내에서의 마스크 착용의무는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김희라 기자  heera2939@naver.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Comments
제목